참(站).

2018. 6. 30. 18:44글쓰기/이 세상은 사각의 정글이 아니다!

().

하라 아홉 참()식 열 참()식 녜거늘

하루에 아홉 참()식 열 참()식 가거늘이라는 뜻으로 조선시대 간행된 박통사언해 朴通事諺解라는 책에 보이는 용례입니다. 여기서 이란, 공무로 여행하는 사람이 쉬던 곳을 이르는 말이지요. ‘역참(驛站)이라고도 합니다.

한참 기다렸나?’처럼 우리가 자주 쓰는 이 한참도 여기에서 유래하였습니다. ‘한참은 두 역참(驛站)사이의 거리를 가리키던 데서 비롯한 말로, 역참과 역참 사이의 거리가 멀기 때문에 그 사이를 오가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뜻이지요. 즉 공간 개념이 시간 개념으로 바뀐 경우라 하겠습니다.

그리고 새참(곁두리)이니, 밤참이니, 할 때의 ''도 이 참()에 잇댑니다. 여기서 은 일을 하다가 잠시 쉬며 먹는 음식이지요. 우리 속담에 고추 밭을 매도 참이 있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고추 밭 매기처럼 헐한 일이라도 을 준다는 뜻으로, 작은 일이라도 사람을 부리면 보수로 끼니는 때워 줘야 한다는 속담이지요.

이외에도 일을 하다가 쉬는 일정한 사이집에 가려던 참이다처럼 무엇을 하는 경우나 때를 지칭하는 따위, 그 쓰임새가 참, 여럿입니다.

팍팍한 세상살이다. 오늘이 내 인생에 그 ()’ 날이었으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