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9. 26. 16:30ㆍ연암 산책/연암에 관한 글
아버지 생각날 젠 우리 형님 보았다네
아래 시는 「연암억선형燕巖憶先兄, 연암이 돌아가신 형님(박희원)을 생각하여 지음」으로 세상을 떠난 형님을 그리며 지은 것이다.
我兄顔髮曾誰似 내 형님의 모습이 꼭 누구와 닮았던고
每憶先君看我兄 아버지 생각날 젠 우리 형님 보았다네.
今日思兄何處見 오늘, 생각나는 형님 어데서 본단 말가
自將巾袂映溪行 의관을 갖춰 입고 시냇가로 달려가네.
여기서도 연암의 뭉클한 인간미를 엿볼 수 있다.
돌아가신 아버지와 꼭 닮았던 형, 그래서 아버지가 그리우면 형의 얼굴을 물끄러미 바라보았던 연암, 하지만 이제 그 형님조차 이승을 하직하였다. 연암은 이제 혹 자기의 얼굴에서 형의 모습을 볼 수 있지 않을까 하여 주섬주섬 옷을 챙겨 입고 시냇가로 부리나케 달려간다.
박희원은 후사가 없어 연암의 맏아들 종의宗儀, 1766~1815가 양자하였다. 연암은 4남매 중, 막내였다. 맏이는 희원, 둘째는 이현모(李顯模, 1729~1812)의 부인 박씨(1729~1771), 셋째는 서중수(徐重修)의 부인 박씨(1733~1809)이다.
가슴 뭉클한 동기간의 정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연암이니 시집와서 평생을 가난과 살다간 그의 아내에 대한 마음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종신토록 형형한 눈길, 노기 띤 숨 몰아쉬며, 바람살 눈살 몰아치는 조선후기를 허랑 허랑 걸어간 연암이었다. 잔재미라곤 없는 사내라지만, 이러한 속정마저 없었다면 그의 삶은 어떠하였을까?
이런 일도 있었다.
연암 박지원 서간집인 '연암선생서간첩'(燕巖先生書簡帖)이 서울대박물관 소장품에서 발굴됐다. 반초서체 친필로 연암 편지는 총 30통이 수록되어 있다.//문화부기사참조/문화/2005.6.2 (서울=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