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8. 14. 20:36ㆍ간호윤의 책들/아름다운 우리 고소설(2010년)
저자 간호윤 | 출판사 이회문화사 , 2003.
| |||
♧ 저자 소개 간호윤 경기 화성 출생(1961)으로 순천향대학교(국어국문학)와 한국외국어대학교(국어교육학)를 거쳐 인하대학교(국어국문학)에서 문학박사학위를 받았다. |
||
주생전 운영전 최현전 강산변 상사동기 왕경룡전 최척전 최선전
출판사 서평 『朝鮮後期 漢文傳奇小說筆寫集 先賢遺』은 17세기 경으로 추정되는 한문전기소설필사집을 影印, 飜譯하고 論文을 덧붙인 책이다. 이 소설집에 필사된 작품은 ·······으로 8편인데, 대부분 17세기나 그 이전 작품들이다. 『선현유음『의 발굴은 17세기 중엽 이후 한문소설의 轉寫와 流傳이라는 측면에서 또 ‘小說集의 同期化’라는 측면에서 상당히 귀중한 자료집이다. 특히 필사자는 다부진 소설 의식으로 ‘애정’과 ‘재미’라는 점을 銳角化하여 選集 필사하였음을 유의한다면 조선 중기의 소설 의식이 예사롭지 않은 단계에 이르렀음을 쉽게 알 수 있게 하는 반증이다. 이러한 객관적 사실로 미루어, 『先賢遺』이 이미 17세기 우리 古小說史에서 자리매김이 오롯함을 알 수 있다. 이 필사본은 필자의 스승이신 故 金基鉉 敎授님께서 고소설을 공부하는 제자에게 생전에 주신 책이다. 선생님께서 永眠하시자 어떠한 식으로든 이 자료를 공간하고 싶어 바로 이 작업을 시작한 지 3년 만에 마쳤다. 번역은 직역을 하여 원문을 손상시키지 않으려 하였으며, 과 을 제외한 6 편은 異本과 校勘을 하였고 8편에 대한 해제를 겸하여, 『先賢遺音의 小說史的 意義 考』이라는 글을 덧붙였다. 『先賢遺音의 小說史的 意義 考』에서는 『선현유음『이라는 小說集의 總體性에 주목해 보았다. 『선현유음『은 小說集으로서, 또 個別 作品으로서, 이미 ‘各篇으로서의 意味’를 우리 古小說史에서 충분히 지니고 있다. 하지만 소설집으로서 학계에 처음 공개되는 것이기에 아직 그 완전한 실체를 짐작하기는 어려울 것이기에 논문형식을 염두하고 길게 썼다. 따라서 『先賢遺音의 小說史的 意義 考』의 주목적은 17세기 고소설사에서 『선현유음『의 意義 고찰이다. 8편 모두를 대상으로 하되, 指向點은 『先賢遺』의 小說史的 意義를 도드라지게 하는데 집중하였다. 논의한 주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Ⅰ. 筆寫者와 筆寫時期에서는 『선현유음『이 왜 17세기의 작품인가를 살폈다. 『선현유음『은 필사자를 알 수 없기에 학계 모두의 동의를 이끌어 낼만한 定說은 없다. 그렇다고 논의를 피할 수도 없는 것이기에 구구하나마 필사자와 필사시기를 糾明해보려 하였다. 이를 통하여 대략 이 소설집이 17세기경에 필사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Ⅱ. 異本批評을 통해서 본 意義에서는 이미 알려진 6편의 작품을 대상으로 이본 교감을 통해 『선현유음『의 위치를 가늠해 보았다. 지면도 문제였거니와 역량 부족으로 몇 작품을 제외하고는 비교적 善本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본 對比를 통하여 『선현유음『에 필사된 작품들은 대략 先本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앞으로 『선현유음『에 필사된 작품들은 이본으로서 한 몫을 담당할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언급한 고소설의 작자에 관한 문제는 좀더 치밀한 고찰이 있어야 할 것이다. 이본 교감을 하는 동안 원문이 입력된 작품 중에 誤入, 脫字, 闕字 따위를 발견 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의 善本 問題와 · 따위의 작가 검토 등이 더욱 필요함도 밝혔다. Ⅲ. 을 통해서 본 意義는 이미 발표된 논문을 정리한 것이다. 이 장에서는 이 갖고 있는 17세기 애정전기소설의 프리즘을 통해 『선현유음『의 總體性에 접근해 보았다. 에서는 17세기 전기소설로서의 고민을 뚜렷하게 읽을 수 있었다. 그것은 애정전기소설과 국문소설, 설화가 날줄과 씨줄로 촘촘히 얽혀 있다는 것이다. 에서 애정 소설의 美學 逸失에 대한 안타까움은 적잖이 복원된 것 같다. 17세기 중엽 이후, 우리 고소설사에서 장르의 力學關係와 소설의 內在的 發展에 유용한 작품이 될 듯하다. Ⅳ. 을 통해서 본 意義는 이미 발표한 원고를 수정·보완한 논문이다. 은 漁·樵系列 寓言으로 이 소설집과 성격을 달리한다. 그렇지만 필사자의 녹록치 않은 선집 잣대로 『선현유음『의 시기와 소설의식을 적잖이 살필 수 있었다. 특히 ‘漁『樵『라는 용어는 17세기라는 文化接變 현상을 擔保하고 있어 『선현유음『의 필사시기를 짐작할 수 있는 한 단서가 될 수 있다.
<선현유음> 신문기사 내용.
[출판] '선현유음' 조선후기 한문소설 번역서
|
'간호윤의 책들 >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2010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윤의 저서 목록 (0) | 2009.10.11 |
---|---|
<억눌려 온 자들의 존재증명> (0) | 2008.08.23 |
작문대세(읽고 쓰는 즐거움) (0) | 2008.08.11 |
한국고소설비평용어사전 (0) | 2008.08.10 |
종로를 메운 게 모조리 황충일세(연암소설집) (1) | 2008.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