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적 상상

인문적 상상

  • 분류 전체보기 (1533)
    • 글쓰기와 글 읽기 (10)
      • 글쓰기 (4)
      • 코끼리 코를 찾아서 (4)
    • 영화를 보고 (9)
      •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동영상) (6)
      • 선인들의 공부법 (0)
    • 일일 일언(一日一言) (3)
    • 신문연재 (143)
      • 인천일보(평론) (8)
      • 인천신문(칼럼) (72)
      • 복지신문(칼럼) (14)
    • 간 선생의 야담 카페 (27)
    • 간호윤 책 다시 읽기 (6)
    • 그림과 소설이 만났을 때 (2)
    •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 (14)
    • 선현유음 (1)
    • 연암 박지원 평전 (25)
    • 이황 선생 활인심방법 (1)
    • 휴휴헌을 방문하신 분들께 (0)
    • 한문학자료 (14)
      • 휴휴헌 사랑(방문객들 글쓰기) (4)
      • 열하일기 (1)
      • 격몽요결 (2)
      • 동몽선습 (1)
      • 사자소학 (1)
      • 속담 (1)
      • 소학 (0)
      • 백련초해 (0)
      • 윤문자 (1)
      • 장자 (0)
      • 채근담 (0)
      • 논어 (1)
      • 시경 (1)
      • 이두사전 (1)
    • 고소설자료 (2)
      • 고소설 원문 (2)
    • 학생들의 글, 리포트 (20)
      • 학생들의 글과 리포트 (20)
    • 연암 산책 (11)
      • 연암에 관한 글 (11)
    • 삶(각종 수업 자료) (231)
      • 스토리텔링과 스피치 (0)
      • 대학생활과 독서 (5)
      • 스토리텔링(남구청) (6)
      • 나의 이야기 (205)
      • 고전에서 미래를 읽다 (강의자료) (14)
    • 글쓰기 (216)
      • 글쓰기는 연애이다 (162)
      • 시조 (5)
      • 이 세상은 사각의 정글이 아니다! (48)
    • 악인열전(惡人列傳) (5)
    • 고소설 밑줄 긋기 (1)
    • 은행나무골 이야기 (1)
    • 기록 (14)
      • 사진 (14)
    • 포스트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4)
      • 포스트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0)
      • 그림이 된 고소설 (4)
    • 포스트 저서 (35)
      • 속화가 된 고소설 (6)
      • 못 다한 기인기사 (27)
      • 독도를 생각하며 (2)
    • 새 카테고리3 (0)
    • 간호윤의 책들 (114)
      • 아! 19세기 조선을 독하다(2020년) (2)
      • 연암 평전(2019년) (0)
      • 사이비2(2019년) (5)
      • 욕망의 발견(2018년) (8)
      • 아! 나는 조선인이다(2017년) (13)
      • 선현유음(2017년) (0)
      • 사이비(2016년) (9)
      • 송군기 문학 연구(2016년) (1)
      •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2016년) (6)
      • 한국고소설도특강(2014년) (1)
      • 삼류(2013) 공저 (0)
      • 연암 박지원 평전(2012년) (8)
      •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 2012년 (21)
      •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2010년) (24)
      • 기초한문학(2010년) (0)
      • 고전서사의 문헌학적 -(2008년) (0)
      • 기인기사(2008년) (1)
      • 주생전,위생전의 자료와해석(2008년) (0)
      • 연암 소설· 종로를 메운게 모조리 (6)
      • 개를 키우지 마라(2005년) (1)
      • 새로 나올 책들 (7)
      • 조선읍호가 연구(2021년) (0)
      • 조선소설 탐색(2022년) (1)
    • 기인기사 (8)
    • 고소설비평용어 (12)
      • 고소설비평용어 (12)
    • 고소설 백과사전 (6)
      • 고소설사 4대 사건 (6)
    • 서울교대 (27)
      • 실용작문(수3,4)-생활과학 (14)
      • 실용작문(수5,6)-교육학과 (13)
    • 인하대 (23)
      • 고전소설론 (1)
      • 고전산문교육론 (4)
      • 글쓰기와 토론 (16)
      • 고전산문교육론(대학원) (1)
      • 생활한문 (1)
      • 고전산문연구(대학원) (0)
    • 방송대 (7)
      • 고전소설론 (7)
    • 중앙대 (23)
      • 글쓰기2 (8)
      • 기초한문학 (2)
      • 실용한문 (10)
      • 생활한자 (3)
    • 기타 (5)
      • 한국인이 좋아하는 영화 음악 (1)
      • 동영상 (4)
  • 홈
  • 태그
  • 방명록
  • 휴헌 간호윤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인문적 상상

컨텐츠 검색

태그

실학 간호윤 연암 박지원 고전소설 윤석열 정약용 독서 고소설 글쓰기 사이비 정치 대통령 박지원 야담 고소설비평 기인기사 연암 고전 춘향전 다산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이름값(2)

  •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19) 선생(先生), 행동이 바르고 그 입이 깨끗하다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19) 선생(先生), 행동이 바르고 그 입이 깨끗하다 승인 2022.10.03 16:15 http://www.incheon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1163673 [간호윤의 실학으로 읽는, 지금] (19) 선생(先生), 행동이 바르고 그 입이 깨끗하다 - 인천일보 이 가을, 용산 발(發) 숙살(肅殺)의 암울한 기운이 스멀스멀 방방곡곡으로 기어든다. 백주 대낮에 “이 XX들…”이라 한 희대의 정범(正犯)이 간나위 교사범(敎唆犯) 패거리와 짬짜미하여 국민을 공동정범(共同正... www.incheonilbo.com 이름값에 걸맞게 행동하고 말하라 이 가을, 용산 발(發) 숙살(肅殺)의 암울한 기운이 스멀스멀 방방곡곡으로 기어든다. 백주..

    2022.10.03
  • 사람살이와 이름값

    사람살이와 이름값 사람살이를 하며 이런저런 일을 겪는다. 대부분의 사단은 말과 행동이다. 말과 행동은 이름값만 하면 되지 않나 하는 생각이다. 그래, 내 호 휴헌(休軒)에 대해서 생각해본다. 내 호는 나에게 한학을 가르쳐주신 중산(重山) 허호구 선생님께서 지어 주셨다. 《대학장구..

    2013.12.11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