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 2. 2. 12:53ㆍ포스트 저서/속화가 된 고소설
3.
박승수 님이 귀띔해 준 해선식당에 들어섰다. 조선민화박물관을 나와 왼편 계곡을 따라 2-3분 정도 오르자 김삿갓 묘소가 있고 그 맞은편짝이다. 주인장이 어눌한 듯, 무심한 듯, 심드렁한 듯, 강원도 사투리로 일행을 맞는다. ‘정겹다’의 용례는 이쯤에서 찾은 들 어떠랴.
곤드레밥에 산채나물, 막걸리와 감자전, 그리고 간장 한 종지지만 입맛을 돋우기엔 품이 모자라지 않는다. 바쁜 일정이 아니라면 대취(大醉)도 사양치 않으련마는, 미련을 두고 다시 조선민화박물관으로 돌아 와야 했다.
이번엔 출타에서 돌아 온 오석환 관장님이 우리를 맞았다. 목소리는 따뜻했지만 열정이 흐르며 눈매는 부드러웠지만 결기가 곧고, 몸은 곧추섰으며 걸음걸이는 절도가 있었다. 한 폭의 민화 수집에서 오늘의 조선민화박물관 건립까지의 기나긴 여정을 감내한 이답다.
박물관 내는 우리나라 최초 민화 박물관답게 10폭 병풍에서 1폭 병풍까지 튼실하니 잘 정돈 되어 있었다.(필자가 조선민화박물관에서 육안으로 확인한 고소설도는 <삼국지연의>․<구운몽>․<수호전>․<곽분양전> 등이다. 이에 대해서는 따로 설명할 기회를 갖기에 략(略)한다.) 두루 보고 위층을 오르자 초등학생들이 그린 속화가 눈길을 끈다. 그림의 선과 획, 채색은 소박하고 서툴지만 담박한 맛을 주어 좋고, 깍쟁이가 되어버린 아이 그림이 아닌 순수한 동심의 세계라서 더욱 좋다. 오 관장님의 말씀으로는 어린이 민화 그리기 대회 또한 성인 민화 그리기와 함께 매년 개최한단다. 언필칭 옛것을 익혀 새것을 안다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실례요, 옛것의 현재적 변용이다. ‘현재적 변용’이라 함은 옛것의 인문학적 가치와 재화적 가치를 아우르는 넉넉함으로 읽어도 좋다. 패배주의에 젖은, 혹은 제 밥벌이로만 고전을 껴안고 있는 학자들에게 반성을 요하는 대목이다.
2층에 전시된 성인들이 그린 속화 입상작을 보고 그 옆방으로 걸음을 옮긴다. ‘19세 이하는 입장 불가’! 붉은 글씨가 야릇하다. 춘화도(春畵圖)의 방이다. 발긋발긋 채색된 그림에 인간의 원초적 욕망이 적나라하다. 이 춘화도들은 성희(性戱)를 직설적으로 담아낸 것으로 19세기쯤 유행하였다. 사실 춘화도는 조선후기에 진경산수화와 같이 정조 연간에서 순조까지 그 절정기를 이루었다. 김홍도, 신윤복 등 여러 작가들에 의해 그려진 춘화도는 민중의 삶과 체취가 물씬 풍기는 풍속화(風俗畵)였으니 전시된 춘화도는 그로부터 꽤 속되게 진화(進化)(?)된 그림으로 보면 된다. 물론 남녀 간의 직설적 에로틱한 분위기를 피하여, 완곡하고 은미하게 욕망을 전하는 우의적인 춘화도도 없지는 않다.
'포스트 저서 > 속화가 된 고소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주 가금면 ‘한국한글박물관’을 찾아서(2) (0) | 2011.02.14 |
---|---|
충북 충주 가금면 ‘한국한글박물관’을 찾아서(1) (0) | 2011.02.10 |
‘조선민화박물관’을 찾아서 (0) | 2011.01.31 |
‘조선민화박물관’을 찾아서 1. (0) | 2011.01.31 |
그림이 된 고소설 1. (0) | 2011.0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