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교>, 그 과유불급(過猶不及)을 보고

2012. 7. 14. 14:59글쓰기/글쓰기는 연애이다

멜로/애정/로맨스 | 한국 | 129| 개봉 2012.04.25 정지우 박해일(이적요), 김무열(서지우), 김고은(한은교) [국내] 청소년 관람불가

                                                                                                                               

멜로/애정/로맨스 | 한국 | 129| 개봉 2012.04.25 정지우 박해일(

멜로/애정/로맨스 | 한국 | 129| 개봉 2012.04.25 정지우 박해일

이적요), 김무열(서지우), 김고은(한은교) [국내] 청소년 관람불가

 

 

 

 

 

 

 

 

 

 

 

 

 

 

 

 

 

 

 

 

벗에게-

빗줄기가 창을 타고 흐르네.

<은교>를 보았지. ‘선행으로 얻은 청춘이 아니 듯, 죄 지어 받은 노년도 아니다.’

칠순의 노작가(이적요)의 나이 듦에 대한, 그리고 그이의 연정을 온 몸으로 받아내는 열일곱 살 계집아이(김은교)의 위태로운 본능(정욕)을 카메라는 과감하게 때론 부끄럽게 접근하였더군.

황금색의 화면 배경과 몽유적으로 처리한 청년시절의 이적요와 은교의 만남은 충분히 노인의 성도 아름다울 수 있구나하는 생각을 갖게 하기에 충분했어.

여기까지만 봤어야했네. 김무열(서지우)과 은교의 정사장면은, 두 남녀 배우의 몸은 말일세. 사랑을 감당하기에는 너무 왜소하고도 초라하여 역겨움까지 주더군.

더욱이 이를 훔쳐보려 담을 돌아 사다리를 벽에 걸치는 이적요와 함께 흐르는 우스꽝스런 음악, , 스릴러를 방불케 하는 김무열의 죽음에 와서는 과유불급(過猶不及)’ 넉 자를 생각해야만 했다네. 은교의 주제를 노작가(이적요)와 제자 김무열이 은교를 두고 벌이는 삼각 로맨스라 보기에도 결과는 동일하겠지. 이적요에 대한 무게 중심이 김무열을 더욱 왜소하게 만들어서일세.(이하 략)

생각은 내 글쓰기와 삶으로 이어졌네.

내 글과 삶 역시, 과유불급넉 자로부터 자유롭지 못해서일세.

과유불급넉 자를 빗줄기 흐르는 창에 자꾸만 써보네.

 

2012. 7. 14.

자네의 벗.

추신: 박범신 작가의 <은교>는 보지 못했네.

 

 

 

'글쓰기 > 글쓰기는 연애이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쓰기는 권투이다  (0) 2012.08.03
각시탈  (0) 2012.07.16
나비처럼 날아 벌처럼 쏘라  (0) 2012.06.25
재벌 개혁론, 오만과 편견(2)  (0) 2012.02.10
치설(齒說)  (0) 2012.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