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적 상상

인문적 상상

  • 분류 전체보기 (1535) N
    • 글쓰기와 글 읽기 (10)
      • 글쓰기 (4)
      • 코끼리 코를 찾아서 (4)
    • 영화를 보고 (9)
      •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동영상) (6)
      • 선인들의 공부법 (0)
    • 일일 일언(一日一言) (3)
    • 신문연재 (144) N
      • 인천일보(평론) (8)
      • 인천신문(칼럼) (73) N
      • 복지신문(칼럼) (14)
    • 간 선생의 야담 카페 (27)
    • 간호윤 책 다시 읽기 (6)
    • 그림과 소설이 만났을 때 (2)
    •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 (14)
    • 선현유음 (1)
    • 연암 박지원 평전 (25)
    • 이황 선생 활인심방법 (1)
    • 휴휴헌을 방문하신 분들께 (0)
    • 한문학자료 (14)
      • 휴휴헌 사랑(방문객들 글쓰기) (4)
      • 열하일기 (1)
      • 격몽요결 (2)
      • 동몽선습 (1)
      • 사자소학 (1)
      • 속담 (1)
      • 소학 (0)
      • 백련초해 (0)
      • 윤문자 (1)
      • 장자 (0)
      • 채근담 (0)
      • 논어 (1)
      • 시경 (1)
      • 이두사전 (1)
    • 고소설자료 (2)
      • 고소설 원문 (2)
    • 학생들의 글, 리포트 (20)
      • 학생들의 글과 리포트 (20)
    • 연암 산책 (11)
      • 연암에 관한 글 (11)
    • 삶(각종 수업 자료) (231)
      • 스토리텔링과 스피치 (0)
      • 대학생활과 독서 (5)
      • 스토리텔링(남구청) (6)
      • 나의 이야기 (205)
      • 고전에서 미래를 읽다 (강의자료) (14)
    • 글쓰기 (216)
      • 글쓰기는 연애이다 (162)
      • 시조 (5)
      • 이 세상은 사각의 정글이 아니다! (48)
    • 악인열전(惡人列傳) (5)
    • 고소설 밑줄 긋기 (1)
    • 은행나무골 이야기 (1)
    • 기록 (14)
      • 사진 (14)
    • 포스트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4)
      • 포스트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 (0)
      • 그림이 된 고소설 (4)
    • 포스트 저서 (35)
      • 속화가 된 고소설 (6)
      • 못 다한 기인기사 (27)
      • 독도를 생각하며 (2)
    • 새 카테고리3 (0)
    • 간호윤의 책들 (114)
      • 아! 19세기 조선을 독하다(2020년) (2)
      • 연암 평전(2019년) (0)
      • 사이비2(2019년) (5)
      • 욕망의 발견(2018년) (8)
      • 아! 나는 조선인이다(2017년) (13)
      • 선현유음(2017년) (0)
      • 사이비(2016년) (9)
      • 송군기 문학 연구(2016년) (1)
      • 구슬이 바위에 떨어진들(2016년) (6)
      • 한국고소설도특강(2014년) (1)
      • 삼류(2013) 공저 (0)
      • 연암 박지원 평전(2012년) (8)
      • 다산처럼 읽고 연암처럼 써라 2012년 (21)
      • 아름다운 우리 고소설(2010년) (24)
      • 기초한문학(2010년) (0)
      • 고전서사의 문헌학적 -(2008년) (0)
      • 기인기사(2008년) (1)
      • 주생전,위생전의 자료와해석(2008년) (0)
      • 연암 소설· 종로를 메운게 모조리 (6)
      • 개를 키우지 마라(2005년) (1)
      • 새로 나올 책들 (7)
      • 조선읍호가 연구(2021년) (0)
      • 조선소설 탐색(2022년) (1)
    • 기인기사 (8)
    • 고소설비평용어 (12)
      • 고소설비평용어 (12)
    • 고소설 백과사전 (6)
      • 고소설사 4대 사건 (6)
    • 서울교대 (27)
      • 실용작문(수3,4)-생활과학 (14)
      • 실용작문(수5,6)-교육학과 (13)
    • 인하대 (23)
      • 고전소설론 (1)
      • 고전산문교육론 (4)
      • 글쓰기와 토론 (16)
      • 고전산문교육론(대학원) (1)
      • 생활한문 (1)
      • 고전산문연구(대학원) (0)
    • 방송대 (7)
      • 고전소설론 (7)
    • 중앙대 (23)
      • 글쓰기2 (8)
      • 기초한문학 (2)
      • 실용한문 (10)
      • 생활한자 (3)
    • 기타 (5)
      • 한국인이 좋아하는 영화 음악 (1)
      • 동영상 (4)
  • 홈
  • 태그
  • 방명록
  • 휴헌 간호윤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인문적 상상

컨텐츠 검색

태그

다산 춘향전 박지원 글쓰기 정치 고소설비평 야담 정약용 윤석열 기인기사 간호윤 연암 박지원 독서 사이비 연암 고전 고소설 실학 고전소설 대통령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육출화(1)

  • <설색백어지(雪色白於紙)> 눈이 종이 보다 희길래

    " 눈이 종이 보다 희길래" 고려의 대문장가인 백운거사(白雲居士) 이규보(李奎報, 1168~1241)의 란 시 첫구다. 세상이 하얗게 솜이불을 덮은 날, 벗을 찾았나보다. 그러나 주인은 없고, 눈 위에 이름 자만 일필휘지 한다. '‧백‧운‧거‧사‧이‧규‧보' 바람아! 내 벗님이 오기 전에는 절대 쓸어버리지 마시게. 눈빛이 종이보다 더욱 희길래 (雪色白於紙) 채찍 들어 내 이름을 그 위에 썼지(擧鞭書姓字) 바람아 불어서 땅을 쓸지 마렴 (莫敎風掃地) 주인이 올 때까지 기다려다오 (好待主人至) 내일이 동지(冬至)이다. 밤새 내린 눈으로 온 세상이 꽃이다. ‘천화(天花)’가 피었다. 선인들은 눈을 ‘하늘에서 내리는 꽃’이라는 뜻으로 '천화'라하였다. 눈송이가 여섯 모의 결정이라 ‘육출화(六出花)’라고도 한다...

    2022.12.21
이전
1
다음
티스토리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