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5. 27. 15:58ㆍ카테고리 없음
그래, 공부 이야기 한 번 해본다.
독일의 철학자 쇼펜하우어(Schopenhauer, Arthu)는 그의 『문장론』에서 이렇게 말했다.
“책벌레가 되지 마라.”
책을 마음으로 읽지 않으면 읽어도 소용없다는 뜻이다. 공부는 ‘머리공부’가 아닌 ‘마음공부’여야 한다는 뜻이다. 이것이 공부의 진정성 아닌가.
황현(黃玹, 1855~ 1910) 선생, 조선의 뒷자락이 몇몇 파렴치한 수월성교육의 수혜를 받은 만고의 역적들에 의해 댕강 베어져버린 1910년 8월 29일, 그로부터 꼭 열흘째 황현 선생은 목숨을 끊는다는 <절명시(絶命詩)> 네 수를 짓고 이승을 달리한다. 그 둘째 수 결구는 이렇다.
“인간 세상에 글 아는 사람노릇하기 어렵기만 하구나(難作人間識字人).”
나라를 빼앗긴 나이 쉰하고 여섯의 늙은 지식인으로서 어찌 할 지는 명확하다. 창검의 기치를 높이 들 수도, 굴욕적인 삶을 살 수도 없으니 죽을 밖에. 허나, 생목숨 떼는 일이 어디 쉽던가. 오죽하였으면 마음공부를 다부지게 한 저 이도 이러한 시를 지었겠는가. 저 이의 말씀대로, ‘글 아는 사람 노릇’이 여간 어려운 게 아니다. 조선 8도에 어디 황현 선생만 글자를 배웠던가. 황현 선생 같은 이를 손가락 몇으로 헤는 것을 보면, 대부분 머리공부만 하였거나 마음공부가 짧은 것이다.
우리 역사상 공부의 최고수이신 이황(李滉, 1501~1570) 선생께서 ‘학문의 자세’를 읊은 <도산십이곡(陶山十二曲)> 12수도 그저 이렇다.
우부(愚夫)도 알며 하거니 긔 아니 쉬운가?
성인(聖人)도 못다 하시니 긔 아니 어려온가?
쉽거나 어렵거나 가운데에 늙는 줄을 몰래라.
이황 선생은 공부가 ‘쉽기도 어렵기’도 하단다. 어리석은 우부도 능히 할 수 있는 게 공부지만, 성인이라도 경지에 이를 수 없는 것이 공부라는 뜻이다. 배움이 시작이라면 배움의 실천은 끝이다. 어리석은 자도 배워 알 수 있지만 성인이라도 배운 바를 실천하기는 어렵기에 하는 말씀이다. 공부는 마음공부여야 한다는 말이니, 공부의 비등점(沸騰點)은 이러하여 없다. 제대로 공부한 이들이라면 저 익은 벼처럼 고개를 숙이는 까닭은 바로 이 때문이다.
하여, 지금도 유학 갔다 왔다고, 1류 대학 나왔다고, 공부깨나 한 박사랍시고, 거들먹거리는 분네들 자중자애해야 한다. 제 논문에 온갖 좋은 글은 다 써 갈겨 놓고 행동은 영 딴판이니, ‘인간공부’라는, ‘마음공부’라는 문패를 큼지막하게 내 건 인문학 집안에, 파산위기가 아니 오겠는가. ‘글은 글대로 나는 나대로(書自書 我自我)’ 이니, 두 뼘도 안 되는 거리건만 머리와 가슴이 하염없이 멀고도 멀다. 모쪼록 이 글을 읽는 분들께서는 교육감을 잘 뽑으시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