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소설특강 표지 시안
제 책 <한국고소설도특강>(새문사, 2014, 2) 표지 시안입니다. 3년 간 이 책에 매달렸는데 이제야 책의 표지가 보입니다.

<차례>는 다음과 같습니다.
머리말을 대신하여/ 6
1강 고소설도는 민화가 아니다•11
2강 고소설도는 속화이다•17
3강 고소설도의 문헌 정보•29
4강 고소설도의 생성 공간•35
5강 고소설도의 발생 원인•49
6강 고소설도의 유형•67
① 벽화대용(석상)/ 68 ② 사찰벽화용/ 68
③ 병풍용(족자)/ 73 ④ 책의 표지와 삽화용/ 74
⑤ 무속용(꼭두)/ 76
7강 고소설도의 화법-흥, 그리고 멋•79
8강 고소설도의 구성 요소•91
① 필선(筆線)/ 91 ② 구도(構圖)/ 94
③ 형상(形象)/ 96 ④ 화재(제)(畵材(題))/ 99
⑤ 화색(畵色)/ 102
9강 고소설도의 현황-욕망, 그리고 상징 ①•109
①「 고금기관(금고기관)도」/ 112 ②「 곽분양전도」/ 113
③「 구운몽도」/ 119 ④「 문원사귤도」/ 148
10~11강 고소설도의 현황-욕망, 그리고 상징 ②•151
⑤「 삼국지연의도」/ 151
12강 고소설도의 현황-욕망, 그리고 상징 ③•191
⑥「 서유기도」/ 191 ⑦「 서한연의도」/ 207
⑧「 소약(야)란직금도」/ 212 ⑨「 손방연의도」/ 215
13강 고소설도의 현황-욕망, 그리고 상징 ④•217
⑩「 수호지도」/ 217 ⑪「 심청전도」/ 224
⑫「 열국지도」/ 229
14강 고소설도의 현황-욕망, 그리고 상징 ⑤•231
⑬「 임경업전도」/ 231 ⑭「 전등신화도」/ 244
15강 고소설도의 현황-욕망, 그리고 상징 ⑥•247
⑮「 춘향전도」/ 247 ⑯「 평산냉연도」/ 253
⑰「 토끼전도」/ 255 ⑱「 형세언도」/ 260
16강 특강을 마치며•261
•참고문헌/ 269
•첨부: 고소설도 목록/ 272